반응형
방정식의 근을 찾는 방법은 보통 인수분해를 하거나 근의 공식을 알 수 있는 경우에는 근의 공식을 이용한다. 하지만 거의 대부분의 방정식은 근을 직접 찾아서 인수분해를 하기 힘들다. 방정식의 해를 구할 수 없다면, 미분 가능한 함수 일 때, 반복 작업을 통해서 해의 근삿값을 구할 수 있다. 이 방법을 뉴턴의 방법이라고 한다. 뉴턴의 방법을 알아보자.
뉴턴의 방법

1. 미분가능한 함수 y=f(x) 에서 방정식 f(x)=0이다.
2. 방정식의 해를 대략적으로 추측한다. 이 해를 a1이라 한다.
3. n번째 근사적인 해를 an이라 하면, n+1번째 근사해 an 은 an+1=an−f(an)f′(an) 을 이용해서 정확한 근에 다가갈 수 있다.
대략적으로 f(x)=0 의 근을 a1이라 하면, 함수 y=f(x) 위의 점 (a1,f(a1)) 에서 접선의 기울기는 f′(a1)이고, 접선의 방정식을 구하면, y−f(a1)=f′(a1)(x−a1)이다. 이 접선이 x축과 만나는 점은 (a2,0)이다. 이 점을 접선의 방정식에 대입하면, 0−f(a1)=f′(a1)(a2−a1)이다. 이 식을 a1에 대해 정리하면,
a2=a1−f(a1)f′(a1), f′(x1)≠0이다.
이 과정을 계속 반복하면, an+1=−f(an)f′(an)이다. 이 식을 계속 반복하면, an이 방정식 f(x)=0의 근사해가 된다.
이런 방법으로 해를 구하는 것을 '뉴턴의 방법'이라고 한다.
728x90
'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시의 평균값 정리 알아보기 (0) | 2022.11.06 |
---|---|
아르키메데스 정리 증명하기(archimedes theorem) (0) | 2022.11.05 |
로피탈 정리 증명하는 법 (0) | 2022.11.05 |
롤의 정리 증명하기(Roll's theorem) (0) | 2022.11.05 |
최대 최소 정리 증명하기 (0) | 2022.11.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