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분류 전체보기2135

소수의 개수가 무한개인 이유 증명 소수란? 1보다 크고, 1과 자기 자신을 제외한 다른 수로는 나누어지지 않는 수를 말한다. 그래서 소수를 수의 원자라고도 한다.(약수가 1과 자기 자신뿐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소수가 무한개인 이유를 2가지 방법으로 증명해보자. 1. 첫번째 증명방법 소수의 개수가 유한하다고 가정해보면, 가장 큰 소수 $P$가 존재한다. (2, 3, 5, 7, 11,..., P(가장 큰 소수)) 이때, 모든 소수들을 곱한 값에 1을 더한 값을 $N$이라 하자. $N =(2\times3\times5\times7\times11\times\cdots\times P)+1$ 이다. 이때, $N$은 가장 큰 소수 $P$보다 더 큰 숫자이므로 소수가 아니다. 소수가 아니라면, 어떤 소수로 반드시 나누어져야만 한다. $N$을 소수의 크.. 2022. 10. 8.
뉴컴의 역설 : 당신은 어떤 선택을 할 것인가? 뉴컴의 역설에 대해 알아보자. 당신은 2가지 옵션 중 하나의 선택을 할 수 있습니다. 어떤 선택을 할 것인지 살펴보자. 뉴컴의 역설 상황 1번 상자에는 1000달러가 있습니다. 2번 상자에는 100만달러 또는 0달러가 있고, 2번 상자에 돈을 넣을지 비워둘지 선택하는 예측자가 있다. 이때 당신이 할 수 있는 행동은 2가지 ▶행동1 : 1,2번 상자를 모두 가져간다. ▶행동2 : 2번 상자만을 가져간다. 이 상황에서 예측자는 당신이 1,2번 상자를 모두 가져간다고 예측하면(행동1), 2번 상자를 비워 둘 것이고, 당신이 2번상자만을 가져간다고 예측한다면(행동2) 2번 상자에 100만달러를 채워둘 것이다. 과연 당신은 어떤 선택을 할 것인가요? 경우의 수만을 따져서 생각해보면, 행동1을 선택하면, 100만1.. 2022. 10. 6.
필즈상의 역사와 유래, 상금 알아보기 수학의 노벨상이라고 불리는 필즈상에 대해 알아보자. 1. 필즈상이란? 필즈상은 1932년부터 시작해서 수학에서 뛰어난 업적을 남긴 수학자를 위한 국제적인 상이다. 국제 수학자 대회에서 수상자를 발표하는데, 4년에 한번씩 수상자를 2~4명씩 선정하므로, 전세계에서 1년에 1번정도 나오는 수학자들에게 있어서 매우 꿈과 같은 상이라 할 수 잇다. 4년마다 국제 수학자 대회가 열리게 되고 그 대회에서 필즈상 수상자를 발표한다. (※ 2014년에 한국에서 국제 수학자 대회, 필즈상 시상식이 열렸다.) 2. 필즈상을 만든 사람 필즈상은 누가 만들었을까? 필즈상을 만든 사람은 존 찰스 필즈(John Charlse Fields) (1863.5.14. ~ 1932.8.9.) 로 그는 캐나다의 수학자이다. 대수함수 분야를.. 2022. 10. 5.
픽의 정리 알아보기(pick) 특정한 다각형에서 점의 개수만 세면, 넓이를 구할 수 있는 픽(pick)의 정리에 대해 알아보자. 픽의 정리의 성립 조건 꼭짓점이 반드시 격자점 위에 위치하는 다각형, 안쪽, 경계선의 격자점을 셀 수 있을 때, 픽의정리가 성립하고 넓이를 구할 수 있다. 픽의 정리란 무엇인가? 꼭짓점이 격자점에 있는 그림과 같은 다각형들이 존재할 때, 안쪽 부분의 격자점 개수, 경계선 부분의 격자점 개수를 세면, 도형의 넓이를 구할 수 있다. 이 정리는 오스트리아의 수학자 픽(pick) 이 처음 발견하고 정리해서 픽의 정리라 한다. 픽의 정리로 넓이 구하기 다음 도형은 안쪽 점 21개, 경계선 점이 6개이므로 도형의 넓이는 S=21+(6/2)-1=23 이다. 다음 도형은 안쪽 점 15개, 경계선 점이 11개이므로 도형의 .. 2022. 10. 4.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