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수의 극한은 변화율, 연속성, 그리고 미적분의 기초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개념입니다. 극한은 다양한 상황에서 복잡한 문제를 단순화하고 근삿값을 구하는 데 활용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함수의 극한을 활용한 문제와 그 풀이 예제 3가지를 소개하겠습니다.

예제 1: 이동 중 평균 속도와 순간 속도
문제: 어떤 물체가 s(t)=t2+3t (단위: m)로 이동한다고 합니다. 2초에서 순간 속도를 구하세요.
풀이:
순간 속도는 시간 t=2에서의 변화율(미분계수)을 극한을 이용해 구합니다:
v=limΔt→0s(2+Δt)−s(2)Δt.
1. s(2+Δt)와 s(2)를 계산합니다:
s(2+Δt)=(2+Δt)2+3(2+Δt)=4+4Δt+(Δt)2+6+3Δt,
s(2)=4+6=10.
2. 변화율을 계산합니다:
v=limΔt→0(4+4Δt+(Δt)2+6+3Δt)−10Δt=limΔt→04Δt+(Δt)2+3ΔtΔt.
3. 분자에서 Δt를 묶습니다:
v=limΔt→0(4+Δt+3)=4+3=7.
따라서 t=2에서의 순간 속도는 7m/s입니다.
예제 2: 함수의 연속성 확인
문제: 함수 f(x)가 다음과 같이 정의됩니다:
f(x)={x2+2x,if x<1,3x+1,if x≥1.
x=1에서 f(x)가 연속인지 확인하세요.
풀이:
함수가 x=1에서 연속하려면 다음 조건을 만족해야 합니다:
- limx→1−f(x)=limx→1+f(x)=f(1)
1. x→1−에서의 극한:
limx→1−f(x)=limx→1−(x2+2x)=12+2(1)=3.
2. x→1+에서의 극한:
limx→1+f(x)=limx→1+(3x+1)=3(1)+1=4.
3. f(1)의 값:
f(1)=3(1)+1=4.
limx→1−f(x)≠limx→1+f(x)이므로 f(x)는 x=1에서 연속하지 않습니다.
예제 3: 무리함수의 극한
문제: 함수 f(x)=√x+4−2x의 x→0에서의 극한을 구하세요.
풀이:
1. x=0을 대입하면 분모와 분자가 모두 0이 되어 부정형이 됩니다. 이를 유리화하여 극한을 계산합니다:
limx→0√x+4−2x⋅√x+4+2√x+4+2.
2. 분자를 전개하면:
(√x+4−2)(√x+4+2)x(√x+4+2)=(x+4)−4x(√x+4+2)=xx(√x+4+2).
3. x를 약분하면:
limx→01√x+4+2.
4. x→0에서 계산하면:
1√0+4+2=12+2=14.
따라서 x→0에서의 극한은 14입니다.
결론
함수의 극한은 변화율 계산, 연속성 판단, 복잡한 함수의 극한 계산 등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유용합니다. 위의 예제를 통해 극한 개념을 실질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수학의 실생활 적용 분야 알아보기 | 공학 건축 컴퓨터 금융
수학은 교실에서 가르치는 과목 그 이상입니다. 일상 생활의 모든 측면에 스며드는 근본적인 도구입니다. 간단한 계산에서 복잡한 모델링에 이르기까지 수학은 실제 문제를 해결하고 과학, 기
mathtravel.tistory.com
'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항함수의 미분 활용 문제 예제 3가지 (0) | 2024.12.20 |
---|---|
수열의 극한 활용 문제 예제 3가지 (0) | 2024.12.20 |
무리함수 활용 문제 예제 3가지 (0) | 2024.12.20 |
유리함수 활용 문제 예제 3가지 (0) | 2024.12.20 |
로그함수 활용 문제 예제 3가지 (0) | 2024.12.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