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학

3차방정식의 일반해 구하기(근의 공식)

by 여행과 수학 2023. 1. 10.
반응형

3차방정식의 근의 공식은 1541년 수학자 타르탈리아가 발견했다고 알려져 있다. 3차방정식의 근의 공식을 구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3차방정식의 일반형

ax3+bx2+cx+d=0(a0)

 

3차방정식의 근의 공식 유도하기

3차방정식의 최고차항의 계수를 나누어 x3+px2+qx+r=0 이라 한다.

 

x=yp3 을 대입하면,

 

(yp3)3+p(yp3)2+q(yp3)+r=0이다.

 

위 식을 전개하고 정리하면,

 

y3+qy+r=0 꼴로 정리된다.

 

즉, 3차방정식의 풀이는 x3+mx=n의 근의 공식을 구하는 것과 같다.

 

x=u+v 라 하고, 위 식에 대입하면

 

(u+v)3+m(u+v)=n

u3+3uv(u+v)+v3+m(u+v)=n

u3+v3+(3uv+m)(u+v)=n 이다. 

 

(1) u3+v3=n 이 될 수 있는 uv를 구하자. 즉, (3uv+m)(u+v)=0 이 되어야 하고, u=v 이면 n=0이 되므로

 

3uv+m=0, uv=m3 이다.

 

u3v3=m327 이다. 즉, u3v3t2ntm327=0 이라는 이차방정식의 해가 된다.

 

이러한 이차방정식의 근의 공식을 이용해서 근을 구하면,

 

u3=n+n2+4×m3272, v3=nn2+4×m3272 이다.

 

u1=3n+n2+4×m3272u2=3n+n2+4×m3272ωu3=n+n2+4×m3272ω2

 

v1=3nn2+4×m3272v2=3nn2+4×m3272ωv3=3nn2+4×m3272ω2

 

(단, ω=1+3i2 이다.)

 

또한, x=u+v 이고, uv=m을 만족하는 근의 짝을 지으면,

 

α=3n+n2+4×m3272+3nn2+4×m3272

β=3n+n2+4×m3272ω+3nn2+4×m3272ω2

γ=3n+n2+4×m3272ω2+3nn2+4×m3272ω 이다.

3차방정식 근의 공식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