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여러 사이트에서 수식을 입력할 수 있는 Latex 수식 기호에 대해 알아보자.
알파벳 기호
수학 기호 | LaTex 기호 | 수학 기호 | LaTex 기호 |
$\alpha$ : 알파 | \alpha | $o$ : 오미크론 | o |
$\beta$ : 베타 | \beta | $\pi$ : 파이 | \pi |
$\gamma$ : 감마 | \gamma | $\varpi$ : 바파이 | \varpi |
$\delta$ : 델타 | \delta | $\rho$ : 로 | \rho |
$\epsilon$ : 엡실론 | \epsilon | $\varrho$ : 바로 | \varrho |
$\varepsilon$ : 바엡실론 | \varepsilon | $\sigma$ :시그마 | \sigma |
$\zeta$ : 제타 | \zeta | $\varsigma$ :바시그마 | \varsigma |
$\theta$ : 세타 | \theta | $\upsilon$ : 입실론 | \upsilon |
$\vartheta$ : 바세타 | \vartheta | $\phi$ : 파이 | \phi |
$\iota$ : 요타 | \iota | $\varphi$ : 카이 | \varphi |
$\kappa$ : 카파 | \kappa | $\chi$ : 싸이 | \chi |
$\lambda$ : 람다 | \lambda | $\psi$ : 프사이 | \psi |
$\mu$ : 뮤 | \mu | $\omega$ : 오메가 | \omega |
$\xi$ : 자이 | \xi |
관계기호(부등호, 집합 등)
수학 기호 | LaTex 기호 | 수학 기호 | LaTex 기호 |
$<$ | < | $>$ | > |
$\leq$ | \leq | $\geq$ | \geq |
$\subseteq$ | \subseteq | $\supseteq$ | \supseteq |
$\in$ | \in | $\ni$ | \ni |
$\mid$ | \mid | $\not\mid$ | \not\mid |
$\parallel$ | \parallel | $\not\parallel$ | \not\parallel |
$\equiv$ | \equiv | $\not\equiv$ | \not\equiv |
$\approx$ | \approx | $\propto$ | \propto |
$\notin$ | \notin | $\neq$ | \neq |
$\sim$ | \sim | $\emptyset$ | \emptyset |
여기서는 관계 부정 기호들을 참고할 수 있다. 집합이나 등호 부등호의 부정을 알 수 있다. 나누어지지 않는다. 합동이 아니다. 포함되지 않는다 등의 부정 기호를 사용한다.
연산기호
수학 기호 | LaTex 기호 | 수학 기호 | LaTex 기호 |
$\pm$ | \pm | $\mp$ | \mp |
$\cdot$ | \cdot | $\div$ | \div |
$\times$ | \times | $\setminus$ | \setminus |
$\cup$ | \cup | $\cap$ | \cap |
$\circ$ | \circ | $\bullet$ | \bullet |
$\sum$ | \sum | $\prod$ | \prod |
$\int$ | \int | $\oint$ | \oint |
나누기, 적분, 급수, 플러스 마이너스, 점, 교집합, 합집합 기호 등을 알 수 있다.
문자 위 기호
수학 기호 | LaTex 기호 |
$\hat{a}$ | \hat{a} |
$\bar{a}$ | \bar{a} |
$\vec{a}$ | \vec{a} |
$\overrightarrow{AB}$ | \overrightarrow{AB} |
$\overleftrightarrow{AB}$ | \overleftrightarrow{AB} |
벡터, 선분을 나타낼 때 기호를 알 수 있다.
화살표 기호
수학 기호 | LaTex 기호 | 수학 기호 | LaTex 기호 |
$\gets$ | \gets | $\longleftarrow$ | \longleftarrow |
$\to$ | \to | $\longrightarrow$ | \longrightarrow |
$\leftrightarrow$ | \leftrightarrow | $\longleftrightarrow$ | \longleftrightarrow |
$\Leftarrow$ | \Leftarrow | $\Longleftarrow$ | \Longleftarrow |
$\Rightarrow$ | \Rightarrow | $\Longrightarrow$ | \Longrightarrow |
$\Leftrightarrow$ | \Leftrightarrow | $\Longleftrightarrow$ | \Longleftrightarrow |
$\nearrow$ | \nearrow | $\searrow$ | \searrow |
$\swarrow$ | \swarrow | $\nwarrow$ | \nwarrow |
각종 화살표 기호를 알수 있다. 필요조건, 충분조건 등의 기호, 극한에서 다가가는 화살표 기호 등을 참고한다.
기타 기호 팁
수학기호 | LaTex 기호 |
$90^{\circ}$ : 각도 나타낼 때 | 90^{\circ} |
$\cdots$ : ... 점점점 기호 | \cdots |
728x90
'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집합 용어 정리 (0) | 2023.01.05 |
---|---|
수열의 유용한 공식 모음(정리) (0) | 2023.01.04 |
합동, 합동식의 정의와 기본성질 알아보기 (0) | 2023.01.02 |
약수와 배수의 기본 성질 알아보기 (0) | 2023.01.01 |
나눗셈 정리와 그 증명법 알아보기 (0) | 2022.12.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