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차방정식의 정수해
a,b,c가 정수이고 a와 b 중에 적어도 하나는 0이 아니라 하자.
두 정수 s,t에 대해 as+bt=c일 때, 방정식 ax+by=c의 모든 정수해는
x=s+bkd,y=t−akd 이다.
이때 d=gcd(a,b)이고 k는 임의의 정수이다.
증명하기
as+bt=c 이고 ad,bd 는 모두 정수이므로 임의의 정수 k에 대하여 x=s+bkd, y=t−akd 가 주어진 방정식의 정수해가 된다.
x′,y′을 주어진 방정식의 임의의 정수해라 하자.
as+bt=c=ax′+by′에서 a(x′−s)=b(t−y′)이다.
d=gcd(a,b)이므로 a=a′d, b=b′d 라 하면 a′, b′은 서로소이다.
a′(x′−s)=b′(t−y′) 으로부터 a′|b′(t−y′)이다. 따라서 a′|(t−y′) 이다.
즉, 적당한 정수 k에 대해 y′=t−a′k=t−akd 이고, 이를 a′(x′−s)=b′(t−y′)을 대입하면,
x′=s+b′k=s+bkd 이다. 따라서 모든 정수해는 x=s+bkd, y=t−akd 이다.
a, b가 서로소이면 계수가 정수인 방정식 ax+by=c는 항상 해를 가진다.
임의로 주어진 계수가 정수인 방정식 ax+by=c의 정수해를 모두 구하려면, gcd(a,b)=d일때, d|c를 확인한다.
d∤ 이면 주어진 일차방정식은 해가 없다.
d \mid c 이면 유클리드 호제법을 이용하여 as'+bt'=d인 s', t'을 구한다.
s=\frac{s'c}{d}, t=\frac{t'c}{d}가 주어진 방정식의 한 정수해이고, 일차방정식의 정수에 대한 정리를 이용하면 모든 정수해를 구할 수 있다.
'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항연산과 군의 정의, 군의 기본성질 알아보기 (0) | 2023.01.15 |
---|---|
중국인의 나머지정리 증명하기 (0) | 2023.01.14 |
유클리드 호제법 알아보기 (0) | 2023.01.12 |
일반항 판정법 알아보기(급수 1/n은 발산하는 이유) (0) | 2023.01.11 |
3차방정식의 일반해 구하기(근의 공식) (1) | 2023.01.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