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cessing math: 100%
본문 바로가기
수학

수열의 합 공식 유도 과정 쉽게 이해하기

by 여행과 수학 2025. 2. 24.
반응형

수열의 합을 구하는 공식은 수학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입니다. 등차수열과 등비수열의 합 공식은 단순한 암기가 아니라 유도 과정을 이해하면 더욱 쉽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수열의 합 공식이 어떻게 유도되는지 쉽게 설명하겠습니다.

수열의 합 공식 유도 과정

등차수열의 합 공식 유도

등차수열의 합 구하는 방법

등차수열의 합을 구하는 과정은 간단한 덧셈을 활용합니다. 먼저, 등차수열의 일반적인 형태를 살펴보겠습니다.

예를 들어, 첫째 항이 a1, 공차가 d인 등차수열의 처음 n개 항을 더한다고 가정합시다.

이때, 등차수열은 다음과 같이 표현됩니다.

Sn=a1+(a1+d)+(a1+2d)+...+an

마지막 항은 일반항 공식 an=a1+(n1)d을 사용하여 나타낼 수 있습니다.

공식 유도 과정

등차수열의 합을 구할 때, 수열을 거꾸로 한 번 더 적어봅니다.

Sn=a1+(a1+d)+(a1+2d)+...+(a1+(n1)d) Sn=an+(and)+(an2d)+...+a1

이제 두 식을 더하면 각 항의 합이 동일한 값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2Sn=(a1+an)+(a1+an)+...+(a1+an)

이 식에서 (a1+an)이 총 n개 존재하므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습니다.

2Sn=n(a1+an)

양변을 2로 나누면 등차수열의 합 공식이 도출됩니다.

Sn=n2(a1+an)

또한, 마지막 항 an을 일반항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이 변형할 수 있습니다.

Sn=n2(2a1+(n1)d)

등비수열의 합 공식 유도

등비수열의 합 구하는 방법

등비수열은 일정한 비율로 항이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수열입니다. 등비수열의 합을 구할 때는 곱셈을 활용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등비수열의 처음 n개 항을 더한다고 가정하면,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

Sn=a1+a1r+a1r2+...+a1rn1

공식 유도 과정

먼저, 이 식을 공비 r을 곱한 형태로 다시 적어봅니다.

rSn=a1r+a1r2+a1r3+...+a1rn

이제, 원래 식에서 rSn을 빼면 다음과 같이 됩니다.

SnrSn=(a1+a1r+a1r2+...+a1rn1)(a1r+a1r2+a1r3+...+a1rn)

위의 식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Sn(1r)=a1(1rn)

마지막으로, 1r로 나누면 등비수열의 합 공식이 도출됩니다.

Sn=a11rn1r (단, r1)

무한 등비수열의 합

특히, 공비 1<r<1이면 rn이 0에 수렴하게 됩니다. 따라서 무한 등비수열의 합 공식은 다음과 같이 간단히 정리됩니다.

S=a11r (단, 1<r<1)

결론

등차수열의 합 공식은 수열을 거꾸로 배열하여 합산하는 방식으로 쉽게 유도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Sn=n2(a1+an) 또는 Sn=n2(2a1+(n1)d)의 형태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등비수열의 합 공식은 수열의 각 항에 공비를 곱한 후 빼는 방식으로 유도됩니다. 이를 통해 Sn=a11rn1r이라는 공식을 얻을 수 있으며, 공비가 1보다 작은 경우 무한 등비수열의 합 공식 S=a11r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공식의 유도 과정을 이해하면 단순한 암기보다 훨씬 쉽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이제 수열 문제를 풀 때 공식이 자연스럽게 떠오를 것입니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