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정오각형

정오각형은 각 변의 길이가 모두 같은 도형이다. 정오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합은 540∘ 이고 한 내각의 크기는 108∘ 이다.
정오각형에서 대각선을 그으면 황금비를 발견할 수 있다. 이 황금비를 찾아보자.
정오각형 황금비

다음 그림에서 정오각형의 한 변의 길이를 1이라 하고, 대각선의 길이는 x라 하자. 선분 AB, 선분 EC, 선분 AE와 선분 BD, 선분 CD와 선분 BE 가 각각 평행하다. 따라서 삼각형 ABE와 삼각형 FCD는 닮음이다. 따라서 AB:BE=FC:CD 가 성립한다.
¯FC=¯EC−¯EF 가 성립한다. 따라서 ¯FC=x−1 이다.
또한 위 식에서 AB:BE=FC:CD 가 성립하므로 1:x=x−1:1⇒x2−x−1=0 이다. 방정식을 풀면 x=1+√52 이다. 즉, 황금비이다.

따라서 정오각형의 대각선으로 만들어지는 별 모양은 한 번에 서로 만나는 다른 변을 황금분할로 나눈다.

황금비가 피보나치 수열의 연관성 수학적으로 증명하기
황금비와 피보나치 수열은 모두 자연 속에서 자주 나타나는 수학적 개념입니다. 두 개념은 놀라운 수학적 관계를 가지며, 피보나치 수열의 항들이 특정 조건을 만족하면 황금비로 수렴합니다.
noknowhow.com
728x90
'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재배열 부등식 알아보기 (0) | 2022.12.25 |
|---|---|
| 톨레미 정리 알아보기 (0) | 2022.12.24 |
| 황금비의 작도방법 (0) | 2022.12.22 |
| 심슨 정리 증명하기 (0) | 2022.12.21 |
| 오일러의 도형문제 증명하기 (0) | 2022.12.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