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항분포의 뜻
한번 일어나는 시행에서 사건 A가 일어날 확률을 p, 일어나지 않을 확률을 q=1-p 라 하자. 이때, n번의 독립시행에서 사건이 일어날 횟수를 X(확률변수)라 하면, X는 0,1,2,3,4,...,n 이고, X의 확률질량함수는
P(X=x)=nCxpxqn−x,(x=0,1,2,3,⋯,n) 을 의미한다. 이를 확률변수 X의 확률분포를 표로 표현하면,
X | 0 | 1 | 2 | 3 | ⋯ | n | 합계 |
P(X=x) | nC0qn | nC1p1qn−1 | nC2p2qn−2 | nC3p3qn−3 | ⋯ | nCnpn | 1 |
이렇게 이산확률변수 X의 확률분포를 이항분포라 한다.
이항분포는 기호로 B(n,p)로 나타내고, 이 때, n은 시행 횟수, p는 사건 A가 1회의 시행에서 일어날 확률이다.
이항분포의 평균
이항분포의 평균을 구하려면, 확률분포에서 구할 수 있다.
E(X)=0∗nC0qn+1∗nC1p1qn−1+2∗nC2p2qn−2+⋯+n∗nCnpn
=np(p+q)n=np
따라서 이항분포의 평균은 np이다.
E(x)=np
이항분포의 분산
이항분포의 분산을 구하려면, 확률분포에서 구할 수 있다.
V(X)=E(X2)−{E(X)}2
=(02∗nC0qn+12∗nC1p1qn−1+22∗nC2p2qn−2+⋯+n2∗nCnpn)−(np)2
=npq
미분을 이용한 평균, 분산 구하기
(q+pt)n=∑nCxqn−x(pt)x 에서 양변을 t에 대해 미분하면,
n(q+pt)n−1p=∑xnCxqn−xpxtx−1 이다.
양변에 t=1을 대입하자. 이때, p+q=1 이므로
E(X)=∑xnCxqn−xpx=np 이다. 즉, E(X)=np
다시 t에 대해 미분하면,
n(n−1)(q+pt)n−2p2=∑x(x−1)nCxqn−xpxtx−2이고 양변에 t=1을 대입하면,
n(n−1)p2=E(X(X−1)) 이다.
V(X)=E(X2)−{E(X)}2=n(n−1)p2+np−(np)2=np−np2=np(1−p)=npq 이다.
즉, V(X)=npq
'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학적 증명의 중요성 알아보기 | 증명 적용 비판적사고 (0) | 2023.07.23 |
---|---|
이차방정식, 이차함수 관련 실생활 활용 사례 알아보기 (0) | 2023.06.10 |
벡터의 외적 계산방법 알아보기 (0) | 2023.03.29 |
로그의 정의와 성질 알아보기 (0) | 2023.03.28 |
지수법칙 공식정리 (0) | 2023.03.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