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cessing math: 100%
본문 바로가기
물리

레이저 회절 실험을 통한 파장 측정 실험

by 여행과 수학 2025. 3. 30.
반응형

빛은 직진하는 성질 외에도 파동처럼 회절(diffraction)과 간섭(interference) 현상을 보입니다. 이러한 회절 현상을 이용하면 빛의 파장(wavelength)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습니다. 특히 레이저는 단일 파장의 빛을 방출하므로, 회절 실험에 매우 적합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간단한 레이저 회절 실험을 통해 빛의 파장을 직접 측정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1. 실험 목표

- 레이저와 회절격자 또는 좁은 슬릿을 이용해 빛의 회절 패턴을 관찰한다.
- 회절 무늬의 간격을 측정하여 레이저 빛의 파장을 계산한다.
- 파동의 간섭 및 회절 원리를 실험적으로 이해한다.

2. 실험 준비물

  • 레이저 포인터 (빨강, 초록 등 단일 파장)

  • 회절격자 (Diffraction grating, 500~1000 line/mm) 또는 얇은 슬릿

  • 스크린 (흰 종이, 벽 등)

  • 자, 줄자 (거리 및 간격 측정용)

  • 고정 도구 (테이프, 스탠드 등)

  • 계산기 또는 스프레드시트

3. 실험 원리

회절격자를 통과한 빛은 서로 간섭하여 밝고 어두운 무늬(간섭무늬)를 생성합니다. 이때 중심에서 벗어난 밝은 부분의 위치는 다음 공식으로 계산됩니다:

dsinθ=nλ

여기서,

  • d: 회절격자의 선 간격 (1/격자수)
  • θ: 회절 각도
  • n: 회절 차수 (1, 2, 3...)
  • λ: 빛의 파장

거리 L만큼 떨어진 스크린에서 회절무늬 중심으로부터 n번째 밝은 점까지의 거리 x를 측정하면:

tanθsinθxLλ=dxLn

4. 실험 방법

  1. 레이저 포인터를 고정하고, 그 앞에 회절격자를 수직으로 세웁니다.

  2. 격자와 스크린 사이의 거리 L을 측정합니다 (예: 1.0 m).

  3. 레이저를 켜고 회절격자를 통과시켜 스크린에 간섭 무늬가 나타나는지 확인합니다.

  4. 중심 밝은 무늬(0차)에서 좌우 1차, 2차 밝은 무늬까지의 거리 x를 측정합니다.

  5. 측정한 값을 이용해 파장 λ을 계산합니다.

5. 예시 데이터 및 계산

측정항목

회절격자 간격 d

1 / 600 mm = 1.67 × 10-6 m

스크린 거리 L

1.00 m

1차 무늬 거리 x

0.19 m

계산된 파장 λ

λ=1.67×1060.191.001=3.17×107 m=317 nm

이 결과는 레이저 파장이 317 nm로 측정된 예이며, 실험에 따라 오차를 줄이면 650 nm(빨간색 레이저), 532 nm(초록색 레이저) 등에 근접하게 나옵니다.

6. 실험 팁

  • 스크린이 멀수록 측정 정확도가 높아지므로 가능한 멀리 두는 것이 좋습니다.

  • 레이저 빔이 수평을 유지하고, 회절격자에 수직으로 입사하도록 고정하세요.

  • 실내 조명을 줄이면 회절 무늬가 더 잘 보입니다.

  • 양쪽 무늬를 동시에 측정하여 평균을 내면 오차를 줄일 수 있습니다.

결론

레이저 회절 실험은 파동의 회절, 간섭 원리를 이용해 눈에 보이지 않는 빛의 파장을 직접 측정해볼 수 있는 정밀한 실험입니다. 간단한 실험 도구만으로도 매우 과학적인 측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물리학에서 파동의 본질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이 실험을 통해 학생들은 파동 방정식과 회절 현상을 실생활 빛에 적용하는 경험을 하게 되며, 정량적인 측정 능력과 실험 분석 능력을 함께 키울 수 있습니다. 다양한 색의 레이저를 사용하여 파장 비교 실험을 진행해보는 것도 좋은 확장 실험입니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