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정보공학부는 전기에너지를 활용한 다양한 기술과 정보 시스템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반도체, 회로 설계, 신호 처리, 인공지능(AI), 통신 시스템, 전력 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를 포함합니다. 전기전자공학과 컴퓨터 공학을 융합하여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핵심 기술을 연구하고 발전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그렇다면 전기·정보공학부에서는 어떤 과목을 배우게 될까요? 이번 글에서는 주요 전공 과목을 소개하겠습니다.
전기·정보공학부의 주요 전공 과목

회로이론 (Circuit Theory)
전기회로의 기본 원리를 배우는 과목입니다. 저항, 커패시터, 인덕터의 특성을 분석하고, 키르히호프 법칙, 노드-메쉬 해석법, 교류 회로 등을 다룹니다.
전자기학 (Electromagnetics)
맥스웰 방정식을 기반으로 전기장과 자기장의 원리를 배우는 과목입니다. 전자기파, 유도 법칙, 전자기 방사, 안테나 설계 등을 연구합니다.
반도체소자 (Semiconductor Devices)
반도체의 물리적 특성과 트랜지스터, 다이오드 등의 동작 원리를 배우는 과목입니다. 반도체 공정 및 소자의 설계와 응용을 다룹니다.
디지털 논리회로 (Digital Logic Circuits)
디지털 시스템의 기본 요소인 논리 게이트, 플립플롭, 조합논리회로, 순차논리회로 등을 배우며, 컴퓨터 및 임베디드 시스템 설계의 기초를 익힙니다.
신호 및 시스템 (Signals & Systems)
아날로그 및 디지털 신호의 특성을 분석하는 과목입니다. 푸리에 변환, 라플라스 변환, 컨볼루션 등의 개념을 배우며, 신호 처리 및 제어 시스템 설계에 활용됩니다.
전자회로 (Electronic Circuits)
트랜지스터, 연산증폭기(Op-Amp), 다이오드 등의 전자소자를 활용한 회로 설계를 배우는 과목입니다. 아날로그 및 디지털 전자 시스템의 설계 및 분석을 수행합니다.
임베디드 시스템 (Embedded Systems)
마이크로컨트롤러 및 임베디드 프로세서를 활용한 시스템 설계를 배우는 과목입니다. 센서, 실시간 운영체제, 하드웨어-소프트웨어 통합 설계를 학습합니다.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컴퓨터 구조 (Microprocessors & Computer Architecture)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구조 및 동작 원리를 배우는 과목입니다. 명령어 집합, CPU 설계, 메모리 계층 구조 등을 학습합니다.
제어공학 (Control Engineering)
자동화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는 이론을 배우는 과목입니다. 피드백 제어, PID 제어기, 상태공간 모델 등을 활용하여 로봇, 자동차, 항공기 제어 시스템을 설계합니다.
통신공학 (Communication Engineering)
무선 및 유선 통신 시스템의 신호 전송 원리를 배우는 과목입니다. 변조 및 복조, 신호 대역폭, 잡음 분석, 무선 네트워크 등을 연구합니다.
전력전자공학 (Power Electronics)
전력 변환 기술을 연구하는 과목으로, 인버터, 컨버터, 모터 드라이브 등의 전력 제어 시스템을 설계하고 분석하는 기법을 학습합니다.
전력공학 (Power Engineering)
발전소, 송배전 시스템, 재생 가능 에너지 등을 연구하는 과목입니다. 전력 시스템의 경제성 분석 및 최적화 기법을 배웁니다.
인공지능 및 머신러닝 (Artificial Intelligence & Machine Learning)
딥러닝, 신경망,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배우는 과목입니다. 자율주행, 영상 처리, 음성 인식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됩니다.
신호처리 (Digital Signal Processing)
디지털 신호 필터링, 푸리에 변환, 샘플링 이론 등을 배우며, 음성 및 영상 처리, 의료 신호 분석 등의 응용 분야를 학습합니다.
로봇공학 (Robotics Engineering)
로봇의 제어 및 인공지능 적용을 배우는 과목입니다. 자율주행 로봇, 산업용 로봇, 드론 등의 설계 및 프로그래밍을 학습합니다.
VLSI 설계 (VLSI Design)
대규모 집적회로(VLSI) 설계를 배우는 과목입니다. 반도체 칩 설계, ASIC, FPGA 등을 이용한 하드웨어 설계를 다룹니다.
전기 및 정보공학 실험 (Electrical & Information Engineering Lab)
실험을 통해 전기·정보공학의 개념을 실습하는 과목입니다. 회로 설계, 마이크로컨트롤러 프로그래밍, 신호 분석 등을 수행합니다.
결론
전기·정보공학부에서는 회로 설계, 반도체, 통신 시스템, 인공지능, 전력 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를 연구하며, 첨단 기술을 개발하는 능력을 배웁니다. 회로이론과 전자기학을 통해 기초 개념을 익히고, 반도체소자와 전자회로를 통해 전자공학의 핵심 기술을 학습할 수 있습니다.
디지털 논리회로와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통해 컴퓨터 시스템을 설계하고, 통신공학과 신호처리를 통해 무선 및 유선 네트워크의 원리를 배울 수 있습니다. 또한, 인공지능 및 머신러닝을 통해 최신 AI 기술을 연구하고, 전력공학과 전력전자공학을 통해 스마트 그리드와 친환경 에너지 시스템을 탐구할 수도 있습니다.
전기·정보공학을 전공하면 반도체, 전자기기, 인공지능, 로봇, 전력 시스템, 통신, 자동차, IT 등 다양한 산업에서 활동할 수 있으며, 첨단 기술 개발을 선도하는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
'진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계공학부에서는 무엇을 배울까? | 전공 과목 (0) | 2025.04.04 |
---|---|
산업공학과에서는 무엇을 배울까? | 전공 과목 (0) | 2025.04.03 |
건설환경공학부에서는 무엇을 배울까? | 전공 과목 (0) | 2025.04.01 |
물리천문학부(천문학전공)에서는 무엇을 배울까? | 전공 과목 (0) | 2025.03.31 |
지구환경과학부에서는 무엇을 배울까? | 전공 과목 (0) | 2025.03.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