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MathJax]/jax/output/CommonHTML/jax.js
본문 바로가기
수학

자율주행에서 사용되는 이차함수 활용 사례 예시 알아보기

by 여행과 수학 2025. 5. 24.
반응형

자율주행 기술은 차량이 운전자 개입 없이 도로를 인식하고 판단하여 주행하는 기술로, 센서, 인공지능, 제어 시스템, 경로 계획 알고리즘 등 다양한 기술이 융합된 복합 시스템입니다. 이 과정에서 이차함수는 포물선 형태의 곡선을 표현할 수 있어, 주행 경로 예측, 차선 변경, 속도 조절, 제동 거리 계산 등 여러 측면에서 중요한 수학적 도구로 활용됩니다. 본 글에서는 자율주행 시스템에서 이차함수가 사용되는 주요 사례들을 소개합니다.

1. 차량의 궤적 예측 모델링

자율주행차가 커브를 돌거나 차선을 변경할 때, 차량의 이동 궤적은 자연스러운 곡선을 이루며 이차함수로 모델링할 수 있습니다.

y=ax2+bx+c

이 궤적 모델은 경로 생성 알고리즘에서 사용되며, 차량이 매끄럽게 주행하도록 조향각과 속도를 정밀하게 제어합니다.

2. 제동 거리 계산 및 충돌 방지

제동 거리는 차량 속도의 제곱에 비례하여 증가하므로, 자율주행 시스템은 이차함수를 통해 안전 제동 거리와 충돌 위험을 실시간으로 계산합니다.

d=v22μg

이 식은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AEB), 안전 거리 유지 알고리즘 등에 필수적으로 적용됩니다.

3. 차선 인식 및 곡선 피팅

카메라 또는 라이다 센서를 통해 도로 차선을 인식한 후, 이차함수 형태의 곡선으로 차선을 피팅(fitting)하여 차량이 따라야 할 경로를 추출합니다.

y=ax2+bx+c

곡선 피팅은 차선이 직선이 아닌 곡선일 경우에도 정확한 경로 인식을 가능하게 합니다.

4. 속도 제어용 타이밍 곡선

가감속 제어 시 속도의 변화량을 자연스럽게 조절하기 위해 이차함수 기반의 타이밍 곡선(Easing Function)을 사용합니다.

v(t)=at2+bt+c

이 모델은 정지선 접근, 출발, 곡선 주행 시 승차감을 고려한 부드러운 속도 제어에 활용됩니다.

5. 교차로 진입 시 회전 경로 설계

교차로나 회전 구간에서 차량이 회전하는 경로는 포물선 형태로 설계되며, 이차함수로 표현됩니다. 이는 회전 반경, 속도, 경로 곡률 등을 통합적으로 계산하는 데 유용합니다.

정확한 회전 경로는 주행 안정성과 충돌 방지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6. 장애물 회피 경로 계산

도로 상의 장애물을 피하기 위한 회피 경로는 직선 경로 대신 곡선으로 구성되며, 이차함수로 곡선을 생성하여 차량이 부드럽게 우회할 수 있도록 합니다.

장애물 주변에서 급격한 방향 전환이 아닌, 자연스러운 경로 전환을 통해 안정성을 높입니다.

결론

자율주행 시스템에서는 차량 궤적 예측과 조향 경로 설계에 이차함수를 활용하여 자연스럽고 안전한 주행을 구현합니다.

브레이크 거리 계산, 충돌 방지 시스템 등에서는 속도의 제곱에 비례하는 특성을 이용해 이차함수 기반의 제어 전략을 적용합니다.

차선 인식과 곡선 도로 추적에도 이차함수는 핵심 도구로 사용되어 정밀한 주행 경로를 확보합니다.

가감속 제어, 회전 경로 생성, 장애물 회피 경로 설정에서도 이차함수 기반 모델이 안정성과 승차감을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이처럼 이차함수는 자율주행차의 주행 계획, 제어, 인식, 판단 전반에서 중요한 수학적 기반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