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cessing math: 100%
본문 바로가기
물리

솔레노이드 내부 자기장 측정 방법

by 여행과 수학 2025. 3. 29.
반응형

솔레노이드는 도선을 원통형으로 감아 만든 전자석 구조물로, 내부에 균일한 자기장을 생성할 수 있는 특성이 있습니다. 이러한 솔레노이드는 전동기, 리니어 액추에이터, 자기 부상 장치 등에서 핵심적으로 사용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솔레노이드 내부의 자기장을 직접 측정하고, 전류, 감은 횟수, 길이와의 관계를 실험적으로 확인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1. 실험 목표

- 솔레노이드 내부에 형성되는 자기장의 방향과 세기를 측정한다.
- 솔레노이드의 구조(길이, 감은 횟수, 전류)가 자기장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한다.
- 앙페르의 법칙에 따라 자기장 계산식을 검증해본다.

2. 실험 준비물

  • 에나멜선(코일용, 약 1~2m)

  • 플라스틱 빨대, 종이심 또는 PVC 파이프 (코일 지지용)

  • 전원 공급 장치 또는 AA/9V 건전지

  • 멀티미터 (전류 측정용)

  • 자기장 센서 (휴대용 자력계 또는 스마트폰 센서 앱)

  • 자석 또는 나침반 (자기장 방향 관찰용)

3. 실험 원리

솔레노이드 내부의 자기장은 전류가 흐를 때 도선 주위에 생성되는 자기장이 중첩되면서 일정한 방향으로 강화됩니다. 이 자기장은 다음의 식으로 근사적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B=μ0NLI

여기서,

  • B: 솔레노이드 내부의 자기장 세기 (Tesla)
  • μ0: 자유공간의 투자율 (4π×107T·m/A)
  • N: 감은 횟수 (회)
  • L: 솔레노이드의 길이 (m)
  • I: 전류 (A)

4. 실험 방법

① 솔레노이드 제작

  • 빨대나 종이심에 에나멜선을 일정하게 감아 솔레노이드를 만듭니다. (예: 100회 감기)

  • 감은 횟수 N와 길이 L을 측정하여 기록합니다.

  • 도선 양 끝은 피복을 벗기고 전원 장치에 연결할 준비를 합니다.

② 자기장 측정

  • 스마트폰의 자기장 측정 앱(Magnetometer 또는 Physics Toolbox 등)을 실행하거나 자력계를 준비합니다.

  • 솔레노이드의 중심부에 센서를 위치시킵니다.

  • 전원을 연결하여 전류를 흐르게 하고, 자기장 센서가 표시하는 값을 읽습니다.

  • 전류 값을 멀티미터로 측정하거나 설정된 전압/저항에서 유도된 전류를 계산합니다.

③ 조건 변화 실험

  • 전류를 증가/감소시키고 자기장 값을 비교합니다.

  • 감은 횟수를 다르게 한 솔레노이드를 만들어 비교합니다.

  • 길이가 짧은/긴 솔레노이드를 사용해 자기장 강도 변화를 확인합니다.

5. 실험 데이터 기록 예시

감은 수 (N)

길이 (L, m)

전류 (I, A)

이론 자기장 (T)

측정 자기장 (T)

100

0.10

1.0

1.26 × 10⁻³

1.20 × 10⁻³

6. 실험 팁

  • 자기장을 측정할 때 스마트폰은 반드시 ‘평평한 상태’에서 움직이지 않게 고정해야 정확도가 높습니다.

  • 외부 자기장(자석, 금속 물체)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실험 장소를 정리하세요.

  • 전류가 너무 높을 경우 열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연속 사용을 피하고, 필요한 경우 저항을 추가하세요.

결론

솔레노이드는 전류에 의해 자기장을 형성하는 간단하면서도 강력한 전자기 장치입니다. 이번 실험을 통해 솔레노이드 내부 자기장이 감은 횟수, 전류, 길이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확인할 수 있었으며, 앙페르의 법칙을 실제로 검증하는 경험을 할 수 있었습니다.

이 실험은 자기장 개념을 시각적으로 이해하는 데 효과적이며, 전동기나 전자석 등 다양한 응용 분야와도 연결됩니다. 과학 탐구와 창의적 실험 설계 능력을 함께 키울 수 있는 좋은 주제이므로, 다양한 조건 변화를 통해 실험을 확장해보세요!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