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MathJax]/jax/output/CommonHTML/fonts/TeX/fontdata.js
본문 바로가기
생명과학

미세먼지와 식물 잎의 오염도 측정 방법

by 여행과 수학 2025. 4. 6.
반응형

미세먼지는 대기 중에 부유하는 매우 작은 입자로, 사람의 건강뿐만 아니라 식물의 생장에도 악영향을 끼칩니다. 식물 잎 표면에 부착된 미세먼지 양을 측정하면 지역의 공기질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도시 녹지의 공기 정화 기능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 글에서는 미세먼지가 식물에 미치는 영향과 식물 잎에 쌓인 오염도를 측정하는 실험 방법을 소개합니다.

실험 목적

식물 잎에 부착된 미세먼지의 양을 정량적으로 측정하여, 지역 간 대기 오염 수준을 비교하거나, 식물 종류에 따른 미세먼지 포집 능력을 분석하는 것이 실험의 주된 목적입니다.

미세먼지가 식물에 미치는 영향

  • 잎의 기공을 막아 광합성과 증산 작용을 저해

  • 잎 표면의 미세한 털에 부착되어 세포 조직 손상 유발

  • 산성비와 결합 시 엽록소 파괴 및 잎 변색 유발

  • 장기적으로는 식물 생장과 생존율 저하

실험 준비물

  • 잎이 넓은 식물 (예: 플라타너스, 벚나무, 은행나무 등)

  • 증류수

  • 비커 또는 컵

  • 저울 (0.01g 단위 정밀 측정용)

  • 여과지(필터 페이퍼)

  • 깔때기, 거름장치 또는 진공 여과기 (있으면 좋음)

  • 채취 날짜, 장소 기록지

실험 방법

1단계: 식물 잎 채취

다양한 지역(예: 도심, 공원, 학교 뒷산 등) 또는 식물 종류별로 잎을 3~5장씩 채취합니다. 동일한 시기에 수집해야 비교가 가능합니다. 가능하면 동일한 높이, 방향의 잎을 선택합니다.

2단계: 미세먼지 추출

채취한 잎을 비커에 넣고, 일정량(예: 100ml)의 증류수를 붓습니다. 잎을 흔들거나 부드럽게 닦아내며 표면의 미세먼지를 물에 녹여냅니다. 잎을 꺼내고 남은 물을 사용합니다.

3단계: 여과 및 건조

미세먼지가 포함된 물을 여과지에 부어 거릅니다. 여과지 위에 남은 미세먼지를 자연 건조시키고, 완전히 마른 후 무게를 측정합니다. 여과지의 무게는 실험 전에도 측정해 두어야 합니다.

4단계: 오염량 계산

여과 전후의 여과지 무게 차이를 통해 미세먼지의 질량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미세먼지 질량=여과지 무게(건조 후)여과지 무게(건조 전)

데이터 기록 예시

채취 장소

식물 종류

여과 전 무게(g)

여과 후 무게(g)

미세먼지 질량(g)

도심가

은행나무

0.230

0.245

0.015

공원

벚나무

0.228

0.232

0.004

과학적 원리

식물 잎은 광합성을 위해 대기와 직접 접촉하는 기관이기 때문에 대기 중의 오염물질이 쉽게 부착됩니다. 특히 미세먼지(PM10, PM2.5)는 잎의 표면에 흡착되어 제거되지 않으며, 식물 종류에 따라 포집 효과가 다릅니다. 이 실험을 통해 다음을 알 수 있습니다:

  • 지역 간 공기질 차이

  • 식물별 미세먼지 포집 능력

  • 녹지 공간의 환경 개선 효과

실험 시 주의사항

  • 여과지는 반드시 건조 전·후 무게를 정확히 측정해야 하며, 같은 환경에서 말리는 것이 좋습니다.

  • 잎을 물에 담글 때 너무 세게 문지르면 잎 자체의 입자가 떨어져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 측정된 미세먼지는 수분을 모두 날린 후 측정해야 하므로, 건조 시간이 충분히 확보되어야 합니다.

결론

실험 목적
식물 잎에 부착된 미세먼지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지역 간 대기오염 수준과 식물 종류별 오염도 차이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측정 방법
잎을 증류수에 담가 미세먼지를 추출하고, 여과지를 이용해 수거한 뒤 무게 변화를 측정하여 오염도를 간접적으로 파악합니다.

과학적 의미
식물은 단순한 환경 미관 요소를 넘어 대기오염을 줄이고 미세먼지를 포집하는 기능이 있으며, 도시 녹지 조성이 왜 중요한지를 체감할 수 있습니다.

환경적 실천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한 나무 심기, 대중교통 이용, 실내 공기 정화 식물 활용 등 환경 보호 활동으로 이어질 수 있는 실험입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