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구과학

달의 위상 변화 관찰 실험 방법

by 여행과 수학 2025. 3. 28.
반응형

달은 지구 주위를 공전하면서 태양 빛을 반사해 우리 눈에 보이는데, 그 위치에 따라 달의 보이는 모습이 달라지는 현상을 "달의 위상 변화"라고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간단한 재료를 이용해 달의 위상 변화를 직접 모형으로 관찰하고, 그 과학적 원리를 이해할 수 있는 실험 방법을 소개합니다. 이 활동은 천문학의 기초 개념인 달의 공전과 위상 변화를 시각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좋은 기회입니다.

1. 실험 목표

- 달의 위상이 왜 변하는지 그 원리를 이해한다.
- 태양, 지구, 달의 위치 관계에 따라 달이 어떻게 보이는지를 모형으로 재현한다.
- 달의 주요 위상(삭, 초승달, 상현달, 보름달, 하현달, 그믐달)을 구분할 수 있다.

2. 실험 준비물

  • 작은 공 (스티로폼 공 또는 탁구공 등 – 달 역할)

  • 손전등 또는 스탠드 (태양 역할)

  • 막대 또는 젓가락 (달을 고정할 수 있는 도구)

  • 어두운 방 또는 불을 끈 공간

  • 거울 또는 돋보기 (선택 – 관찰용)

3. 실험 원리

달은 자체 발광을 하지 않고, 태양빛을 반사하여 우리 눈에 보입니다. 지구를 중심으로 공전하면서 지구, 태양, 달의 상대 위치가 달라짐에 따라, 우리가 보는 달의 밝은 부분이 달라집니다. 이것이 바로 달의 위상 변화입니다.

달의 공전 주기는 약 29.5일이며, 아래와 같은 위상 변화를 순환합니다:

  • 삭 (New Moon): 태양과 달이 같은 방향에 있어 달이 보이지 않음

  • 초승달 (Crescent): 얇은 초승달이 오른쪽에 생김

  • 상현달 (First Quarter): 반달, 오른쪽이 밝음

  • 보름달 (Full Moon): 태양과 마주 보고 있어 전체가 밝음

  • 하현달 (Last Quarter): 반달, 왼쪽이 밝음

  • 그믐달 (Waning Crescent): 얇은 달이 왼쪽에 보임

4. 실험 방법

Step 1: 방의 불을 끄고, 중앙에 손전등을 켜서 태양 역할을 하도록 배치합니다.

Step 2: 얼굴을 중심(지구 역할)으로 하고, 막대에 달 역할의 공을 꽂아 손에 듭니다.

Step 3: 얼굴은 고정한 채로, 공을 자신의 머리 주변으로 천천히 회전시키며 손전등 빛이 공에 비치는 부분을 관찰합니다.

Step 4: 공이 특정 위치에 있을 때, 우리 눈에 보이는 밝은 부분이 어떻게 변하는지 관찰합니다.

Step 5: 공전 방향은 반시계 방향으로 유지하고, 위치에 따라 달의 위상을 하나씩 기록합니다.

5. 위상별 관찰 포인트

달의 위치

보이는 모양

달의 위상

태양과 나 사이 (정면)

보이지 않음

45도 오른쪽

얇은 오른쪽 초승달

초승달

오른쪽 90도

오른쪽 반달

상현달

태양 반대편

전체 밝음

보름달

왼쪽 90도

왼쪽 반달

하현달

왼쪽 45도

왼쪽 초승달

그믐달

6. 실험 응용 및 팁

  • 달의 위상을 직접 그림으로 그려서 관찰일지 작성하기

  • 스티로폼 공에 실제 달 무늬를 그려 더 현실감 있게 만들기

  • 야외에서 실제 달을 관찰하며 실험과 비교해보기

결론

달의 위상 변화는 태양, 지구, 달의 위치 관계에 따라 달이 반사하는 빛의 부분이 다르게 보이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입니다. 이번 실험을 통해 우리는 이 위상을 직접 체험하며, 달의 공전과 위상 변화 원리를 명확히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천체 관측의 기초이자 우주 과학에 대한 흥미를 높여주는 이 활동은 초등학생부터 고등학생까지 누구나 쉽게 따라할 수 있는 과학 체험입니다. 달이 밤마다 다른 모양으로 보이는 이유를 이제는 눈과 몸으로 이해해보세요!

728x90

댓글